In this project, I would like to barter my lotus pattern on ready-made work for people’s involvement with a Wish Stone. Merchants and residents are invited to write their wishes on the stone. Among patterns the lotus is an aquatic plant and has been called "the virtue below the water". It was chosen as the pattern for the cover of old books as a watery talisman against fire. Additionally, in Buddhism the lotus became a symbolic flower of prayer and has been used and read as a symbol of fortune up to this day. In this project, both of Wish Stone and Lotus art work both involve notions of desire and hope. At the same time, they take the forms of Seok (石, Stone) and Su (水, Water). This project aims to ease difference and unfamiliarity and to stimulate the sleeping sensitivities of the residents and merchants who have been focusing only on the chore of making their living.
항상 생각 없이 오르내리는 계단. 계단은 층계를 연결해 주는 건축적 요소로 우리의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자리하고 있다. 나는 안양의 젖줄인 안양천의 지류 삼막천에 자리한 만안교에 대한 역사적인 이야기를 연구하고, 그 내용을 손 글씨로 합판에 써서 안양천 변에 위치한 계단에 설치할 것이다. 알게 모르게 지나쳐 왔던 만안교는 조선시대 정조 대왕이 아버지인 사도 세자의 묘를 보다 편히 자주 찾으러 가기 위해 건축했다고 하는 효심이 가득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돌아가신 아버지와 아들을 연결해 주는 다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하고, 윗공간과 아래 공간을 연결하는 계단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정조대왕의 이야기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또한 이 작업은 정결하지 않은 안양천 변의 계단에 심미적인 효과를 더할 것이며, 일상적인 건축적 요소와 결합됨으로써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서게 될 것이다.
We usually use the stairs without much awareness. Stairs are an architectural element that connect spaces and have a natural place in our daily experience. I will research the historical stories of ManAn Bridge which is located in Sammack stream, a tributary of Anyang River. The stories will be handwritten on wood panels and installed on the stairs that are on the banks of Anyang River. King Jeong-Jo of Choseon Dynasty constructed ManAn Bridge so as to be able to visit the grave of his father, Prince Sado. This is a tale of devotion to parents and ancestors. I will reinterpret this bridge as a means for connecting family members and use the stairway as a mediator which links up the banks of the river in order to make the story of King Jeong-jo more accessible. Additionally, this work will aesthetically add to the stairway on the Anyang riverside, and through combination with usual architectural elements, will be approachable to people.
Walter Dawn Kim 김새벽
Nomadic House 유목하는 집
집은 누구에게나 소중하다. 이는 집의 크기나 위치, 상황과는 상관없다.
하지만 재개발로 인해 반강제로 이주해야 하는 사람에게 이것은 더욱 절실할 것이다.
슬픈 일이지만 어쩔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이사를 할 때 에어 캡 (일명 뽁뽁이)으로 물건들을 포장한다.
소중한 물건일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이 작업은 집의 모형을 에어 캡으로 포장한 것이다.
소중하지만 어쩔 수 없이 이사해야 하는 현실을 표현했다.
나아가 완전하지는 않지만 투명한 소재인 에어 캡은 재개발로 인해 집의 내부사정(집의 크기나 집세, 입주자나 주거 인원에 대한 정보)이 드러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Houses are precious to us all no matter what scale, location or situation.
To people who are compelled to move because of redevelopment the housing situation is urgent. Such a situation is all the more sad because we are powerless in the face of it.
People usually wrap their possessions with bubble-wrap when they move, especially their most valuable things.
This bubble-wrapped model house seeks to express the reality of being compelled to move from a precious house.
The transparency of bubble-wrap reveals the inside story of the house - information about the residents, the scale, the rent, etc.)
Dainam Kim 김대남
Everyday Beautiful Ttang 매일 아름다운 땅
작업실에 앉아 창문을 통해 보이는 변하지 않는 혹은 조금씩 변해가는 작은 프레임 안에서 시간은 평소와 다른 단위로 흐르는 것 같다. 사람들의 얼굴은 작은 희망을 따라 앞만을 보며 움직이고 주위의 풍경에 아랑곳 하지 않는다. 또 다시 어둠이 찾아오고 하늘과 땅은 따뜻한 빛이 더해져 감빛으로 물들고, 주변의 회색 빛 시멘트는 우리 사이의 넓은 틈마저 메우고 검은 아스팔트는 그 소통조차 덮어버린다. 우리가 살고 있는 노랗고 붉은 땅 그리고 회색과 검은 막의 땅.
인간의 편함을 위해 잘려지거나 덥혀지더라도 독단적이고 무심한 듯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땅은 우리와는 다른 자신만의 시간대를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지만 나는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고 걸어 다니는 작은 도로의 한 켠에 현실을 잊어버릴 수 있는 또 다른 땅을 만들어 쉬지 않고 변해가는 땅의 숨결과 시간을 느껴보고 싶다.
Through the small window frame in my studio, inch by inch, time changes in a curious way. People’s faces move forward filled with some private hope and pay no attention to the surroundings. As night falls the sky and the land are tinged with darkening blues, the concrete grays of the surroundings fill the interval between us and the dark asphalt covers our conversations. Yellow, red colored land and grey, black layered land.
Although it has been cut and covered for the convenience of people from a different time zone does the land still show its emotions? Whatever, my hope is to feel the breath of a new continuously created land, a place apart from the reality of the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