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SAP2010: ARIA.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SAP2010: ARIA. Show all posts
Yo-one
요원
Before the advent of the monetary system, the starting point of market activity was barter.
Economic activity was primarily that of exchange among individuals. My work seems to
be craft rather than painting because I choose icons and the patterns of primitive art as
a method of expression. However, the work differs from craft because my interest is in
generating conversation, not the production of art works.
In this project, I would like to barter my lotus pattern on ready-made work for people’s
involvement with a wish stone. Merchants and residents are invited to write their wishes
on the stone. Among patterns the lotus is an aquatic plant and has been called "the virtue
below the water". It was chosen as the pattern for the cover of old books as a watery
talisman against fire. Additionally, in Buddhism the lotus was a symbolic flower of prayer
and has been used and read as a symbol of fortune up to these days. In this project, both
of wish stone and lotus art work both involve notions of desire and hope. At the same
time, they take the forms of Seok (石, Stone) and Su (水, Water). This project aims to ease
difference and unfamiliarity and to stimulate the sleeping sensitivities of the residents and
merchants who have been focusing only on the chore of making their living.
당신의 소원을 제 꿈과 교환해 드립니다.
시장 활동의 시발점은 원시시대의 ‘물물교환’이었다. 화폐가 등장하기 전까지의 경제활동은
개인과 개인 간의 교환형식이었는데, 내가 추구하는 예술은 순수한 회화보다는 공예로 이해되
기 쉬우며, 그것은 원시예술에서 보여주는 상징성과 문양이 보여주는 본능의 기호화를 표현방
법으로 선택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예와 구분되는 차이점은 단순한 패턴이 새겨진 생활
미술품 양산이 아닌 소통에 관심이 있다는 점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레디메이드(ready-made)에 본인의 연꽃문양을 얹은 작품과 시장상인
이나 지역주민들의 소원을 적은 ‘wish stone’을 물물교환 하고자 한다. 문양 중에 연꽃에 집착
하는 여러 가지 이유 중, 이번 프로젝트에 부합되는 것을 꼽아보면, 연은 수생식물로서 수중군
자(水中君子)라고 불려지며 기와 단이나 고서의 표지에 새김으로서 이러한 水氣(수기)로 방화
(防火)하고자 한 염원이 담긴 문양이었다. 또한 연꽃이 불교와 결합되면서는 염원과 기원의 꽃
이 되었고 그것은 곧 기복의 상징으로 오늘날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읽혀지고 있다. 이번 프
로젝트에서 ‘wish stone’과 연꽃소품은 두 가지 모두 소원이자 꿈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음과
동시에, 석(石), 수(水)라는 표면적인 형식에도 부합된다. 시장에서 예술을 하는 나의 묘한 이질
성과 낯섦을 해소하고, 지역주민과 시장상인 분들의 생계활동에 치중되어 있던 감성을 자극하
고자 하는 것이 이 작업의 목표이자 의의이다.
Yooree Seo
서유리
Step on poetry Stairs
We usually use the stairs without much awareness. Stairs are an architectural element that connect spaces and have a natural place in our daily experience. I will research the historical stories of ManAn Bridge which is located in Sammack stream, a tributary of Anyang River. The stories will be handwritten on wood panels and installed on the stairs that are on the banks of Anyang River. King Jeong-Jo of Choseon Dynasty constructed ManAn Bridge to be able to visit the grave of his father, Prince Sado. This is a tale of devotion to parents and ancestors. I will reinterpret this bridge as a means for connecting family members and use the stairway as a mediator which links up the banks of the river in order to make the story of King Jeong-jo more accessible. Additionally, this work will
詩를 밟는 계단
항상 생각 없이 오르내리는 계단. 계단은 층계를 연결해 주는 건축적 요소로 우리의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자리하고 있다. 나는 안양의 젖줄인 안양천의 지류 삼막천에 자리한 만안교에 대한 역사적인 이야기를 연구하고, 그 내용을 손 글씨로 합판에 써서 안양천 변에 위치한 계단에 설치할 것이다. 알게 모르게 지나쳐 왔던 만안교는 조선시대 정조 대왕이 아버지인 사도 세자의 묘를 보다 편히 자주 찾으러 가기 위해 건축했다고 하는 효심이 가득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돌아가신 아버지와 아들을 연결해 주는 다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하고, 윗공간과 아래 공간을 연결하는 계단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정조대왕의 이야기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게하고자 한다. 또한 이 작업은 정결하지 않은 안양천 변의 계단에 심미적인 효과를 더할 것이며, 일상적인 건축적 요소와 결합됨으로써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서게 될 것이다.
서유리
Step on poetry Stairs
We usually use the stairs without much awareness. Stairs are an architectural element that connect spaces and have a natural place in our daily experience. I will research the historical stories of ManAn Bridge which is located in Sammack stream, a tributary of Anyang River. The stories will be handwritten on wood panels and installed on the stairs that are on the banks of Anyang River. King Jeong-Jo of Choseon Dynasty constructed ManAn Bridge to be able to visit the grave of his father, Prince Sado. This is a tale of devotion to parents and ancestors. I will reinterpret this bridge as a means for connecting family members and use the stairway as a mediator which links up the banks of the river in order to make the story of King Jeong-jo more accessible. Additionally, this work will
aesthetically add to the stairway on the Anyang riverside, and through combination with
usual architectural elements, it will get closer to people.
詩를 밟는 계단
Walter Dawn Kim
김새벽
Nomadic House
Houses are precious to all of us, it does not matter how big, where it is or what situation the house is in now.
To people who are compelled to move because of redevelopment, having an house is urgent. Such a situation is all the more sad because we are powerless in the face of it.
People usually wrap their possessions with bubble-wrap when they move, especially their most valuable things.This bubble-wrapped model house seeks to express the reality of being compelled to move from a precious house.
The transparency of bubble-wrap reveals the inside story of the house - information about the residents, the scale, the rent, etc.)
유목하는 집
이는 집의 크기나 위치, 상황과는 상관없다.
하지만 재개발로 인해 반강제로 이주해야 하는 사람에게 이것은 더욱 절실할 것이다.
슬픈 일이지만 어쩔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이사를 할 때 에어 캡 (일명 뽁뽁이)으로 물건들을 포장한다.
소중한 물건일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이 작업은 집의 모형을 에어 캡으로 포장한 것이다.
소중하지만 어쩔 수 없이 이사해야 하는 현실을 표현했다.
나아가 완전하지는 않지만 투명한 소재인 에어 캡은 재개발로 인해 집의 내부사정(집의 크기
나 집세, 입주자나 주거 인원에 대한 정보)이 드러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Through the small window frame in my studio, inch by inch, time changes in a different way. People’s faces move forward, filled with some private hope and pay no attention to the surroundings. As night falls, the sky and the land are tinged with darkening blues, the concrete grays of the surroundings fill the interval between us and the dark asphalt covers our conversation. Yellow, red colored land and grey, black layered land.
Although it has been cut and covered for the convenience of people from a different time zone, does the land still show its emotion? Well, my hope is to feel the breath of a newly created land, a place apart from the reality of the city.
매일 아름다운 땅

쉬지 않고 변해가는 땅의 숨결과 시간을 느껴보고 싶다.
+ Hansam Son
마르쿠즈 베른니 사이토
+ 손한샘
DANCING COOKS - The No-Menu Restaurant in Seoksu Market.
From September 1st to 30th, Wednesday through Sunday nights, Han Sam Son and Markuz Wernli Saitô invite hungry guests to bring their own ingredients and join their cooking improvisation at the Seoksu Marketplace. Local foods, recipes and cooking skills are being exchanged instead of money at this art restaurant.
Cooking without any given menu or ingredients necessitates a spontaneity and inventiveness only achieved through open dialogue. The eatery's interior is specifically designed to facilitate these alternative exchanges: a small, light-filled space dominated by one table where guests spread out their food and menu ideas. Contrary to cooking at home, this restaurant offers a space for conviviality, surprising culinary outcomes and, yes, a pizza oven on wheels.
DANCING COOKS is an experimental model for running a vibrant shop with little means that attracts new audiences. Passion and inspiration will turn a scruffy vacant store into an artful dining place. On a modest budget the artists have salvaged discarded bricks to build the pizza oven, and have made kitchen furniture from leftover wood. To engage a demographically wide range of the population into the food sharing experience the “dancing cooks” are organizing workshops in pizza baking and local food scavenging, invite guest chefs, and maintain a blog to keep track of the culinary accomplishments (surprises, that is!).
Because the restaurant is located in an economically very volatile marketplace, the artists were eager to introduce their enterprise in a non-threatening way by integrating the neighboring business owners in the planning and realization. In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surrounding vendors, the artists are realizing the Food Guide to the Seoksu Marketplace for promoting locally grown and crafted provisions to the guests of DANCING COOKS and beyond.
춤추는 요리사 - 석수시장의 메뉴 없는 식당
9월 중 매주 수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저녁마다 손한샘 작가와 마르쿠즈 베른리 사이토는 석수시장에서 배고픈 손님들을 초대하여 그들이 직접 가져온 재료를 가지고 즉석에서 함께 요리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 예술 식당에서는 지역의 음식, 요리법 그리고 조리기술 등이 돈을 대신하는 교환가치가 된다. 정해진 메뉴나 재료 없이 요리하는 것은 단지 열린 대화를 통한 자발성과 창의성을 필요로 할 뿐이다. 식당 내 인테리어는 이러한 대안적 소통과 교류가 가능하도록 특별하게 고안되었는데, 자그마하고 조명으로 밝혀진 공간에는 하나의 테이블이 자리하고 있고, 손님들은 이 테이블에 그들이 만든 음식을 차리고 메뉴에 대한 아이디어를 펼칠 수 있다. 집에서 요리하는 것과는 달리, 이 식당은 연회를 위한 장소와 예상할 수 없는 놀라운 요리의 결과물들 그리고 이동식 피자 오븐을 제공한다.
‘춤추는 요리사’는 새로운 관람객을 매료하는 작은 수단으로써 생동감 넘치는 가게 운영에 대한 하나의 실험적 모델이다. 열정과 영감이 낡고 텅 빈 가게를 예술적인 식당 공간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얼마 되지 않는 예산을 가지고, 작가들은 버려진 벽돌들을 모아 피자 화덕을 만들었고, 남겨진 목재를 이용하여 부엌용 가구를 만들었다. 인구 통계학적으로 넓은 범위의 사람들을 음식 체험을 공유하는데 참여시키기 위해 ‘춤추는 요리사’는 피자 굽기와 지역 음식에 대한 워크숍을 진행하고, 요리사를 손님으로 초대하며 요리의 놀라운 성과들을 기록하는 블로그를 운영할 계획이다. 식당이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시장 터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작가들은 기획과 실현에 있어서 이웃의 상점주인들을 결합시키면서 작가들의 사업을 위협적이지 않는 방식으로 알리고자 노력하였다. 주변 노점상인들과의 친밀한 협업 속에서 작가들은 ‘춤추는 요리사’를 찾는 손님들과 그 이외의 사람들에게 지역에서 자란 재료로 만들어진 음식을 알리기 위해 석수시장 음식 안내서를 만들고 있다.
Dorota Podlaska + Jooyoung Lee 도로타 포들라스카 + 이주영
Happy News
Cities are created by people. By publishing Happy Newspaper, we hope to engage with people in positive action, point to their stories as an important part of reality, give people a chance to share good news with their neighbors, and pay attention to individuals. Happy news can be a start for conversations, create a friendly atmosphere, and strengthen bonds between neighbors. Every day, ordinary events and experiences can change into exciting stories.
Seoksu Market is small in scale, like the surrounding neighborhood. Comparing to new block towers, it has a human scale. This quiet place is more like home than a workplace. By producing the happy newspaper that makes Seoksu shop owners accessible to others, we want to help this homely atmosphere to grow.
해피 뉴스
신문 혹은 매체에서 접할 수 있는 기사들은 마치 “나쁜 뉴스 판매bad news sells”인 양, 모두 나쁜 일이거나 비극적이다. 우리는 석수시장 공동체에 대한 즐거운 소식을 제공하는 신문을 만들고자 한다. 우리는 시장상인들로부터 그들의 가족에 대한 정보와 최근에 있었던 행복했던 일들을 수집 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이야기와 인용문들을 바탕으로 텍스트와 회화를 결합한 작품 시리즈를 제작하여, 각 상점에 마치 하나의 무료 선물처럼 배포할 것이다. 또한 이 작품들을 스캔하고 확대해서 벽면에 대형으로 전시할 것이다.
도시란 사람들에 의해 창조되는 것이다. ‘해피 뉴스’(행복신문)를 발행하여, 우리는 긍정적인 활동을 통해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그들의 이야기를 현실의 중요한 부분으로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리고 사람들에게 이웃들과 좋은 소식을 공유하고 개개인에게 주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를 희망한다. ‘해피 뉴스’(행복신문)는 소통의 출발점이 될 수 있으며, 친절한 분위기를 생성하고, 이웃간의 유대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매일의 일상적인 사건과 경험들이 흥미로운 이야기로 전환될 수 있다.
석수시장은 주변 인근처럼 작은 규모를 가지고 있다. 새로운 고층 건물들과 비교했을 때, 이것은 인간적인 스케일이다. 이 고요한 장소는 일터라기보다는 집에 가깝다. 석수시장의 상인들과 다른 사람들 간의 매개체가 될 ‘해피뉴스’(행복신문)을 제작함으로써 따뜻한 환경이 조성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Katrin Murbach + Riikka Tauriainen (Finland)_ 카트린 무어바흐 + 리카 타우리아이넨
A map to potential holes – ManAn Street Golf Course
We have created an alternative golf course in the streets of ManAn-gu incorporating found architecture, like small bumps, pipes and curves that serve as hazards on the nine-hole route that is connected by a walk through the neighborhood. With small interventions, minor repairs and marking of the locations, we turn negative space such as dispensable gaps into something new. Guided by a map, people can discover and rediscover their surroundings.
The ManAn old town is an endangered form of city design in Korea. It has been built in a flexible way based on the needs of people and has formed itself in a slow process over a period of time. In contrast, the new development zone is planned based on rigorous norms and the usage of space is prescribed in very definite ways, so that there is hardly any space left for people's personal ideas.
The concept of a street golf course unfolds the potential of an adaptive city. We declare ready-mades as art through demarcating them and assisting them to redefine their function. The usage of the work can lead to interesting interactions between the environment and the local people. Through these interventions we aim to inspire people to co-develop their own surroundings in an independent way.
The route begins at the Seoksu Market, where the players get a club, a ball, a map and a score card and start the street golf course through Manan-gu. After the Open Studio period, September 3rd to September 12th 2010, the golf course will stay open and will be taken care by neighborhood hosts.
A map to potential holes – 만안 길거리 골프
우리는 만안구 거리에서 발견된 작은 턱과 파이프, 커프 등과 같은 건축적 요소를 결합하여 아홉 개의 홀로 구성된 하나의 대안적 골프장을 만들었다. 아홉 개의 홀은 인근을 산책하면서 연결되고, 결합된 건축적 요소들은 루트의 장애물과 같은 역할을 한다. 작은 개입(intervention)과 약간의 수리 그리고 위치 표시를 통해 우리는 불필요한 틈새와 같은 부정된 공간 (negative space)을 새로운 어떤 것으로 변화시켰다. 지도의 안내를 따라 사람들은 그들의 주변을 발견 그리고 재발견하게 된다.
만안의 구 도시는 한국 도시 디자인의 위태로운 형태를 띠고 있다. 이곳은 사람들의 필요에 따라 유기적인 방식으로 건설되었고, 일정 기간 동안 느린 과정을 거쳐 스스로 형태를 갖춰왔다. 반면, 재개발 지역은 엄격한 기준에 의해 계획되고, 공간의 활용은 매우 정확하게 사전에 규정된다. 따라서 재개발지역에는 사람들의 개인적인 생각이 개입될 수 있는 공간의 여지가 없다.
길거리 골프장의 개념은 조정과 적응이 가능한 하나의 도시의 잠재적 가능성을 열어 보인다. 우리는 경계의 재설정과 기능의 재정립을 통해 레디메이드(ready-mades)를 예술로 전하고자 한다. 작품의 활용은 환경과 지역주민들 간의 흥미로운 상호작용을 이끌어낼 수 있다. 이러한 개입(intervention)을 통해 우리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주변환경을 독자적으로 함께 개발할 수 있도록 영감을 주고자 한다. 골프장 루트는 석수시장에서 시작되고, 이곳에서 선수들은 골프채, 공, 지도 그리고 득점표를 받은 후, 만안구 일대의 거리에 위치한 골프 코스로 출발한다. 2010년 9월 3일부터 12일까지 진행되는 오픈 스튜디오 기간 이후, 이 골프 코스는 계속 개방될 것이며 이웃 주민들에 의해 관리될 예정이다.
Ibai Hernandorena 이바이 에르난도레나
Mobile furniture/ Mobile sculpture
+199.jpg)
+025.jpg)
Two things are important for me in this project. The first is to treat public space as a living playground in motion, and to participate there in this continuity. In fact, these shaded mobile sculptures allow modularity in the space and I am very curious to see what use they will be put to. The second is to be able to consider sculpture and installation in public space as a real laboratory that reveals an environment and a situation. Here, the sculpture is the vector of the experiment. The horizontal position is very common in Korea with the use of "Pyeong Sang." The possibility of using other types of body positions or hammock chairs is not so common. This proposal asks questions about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body in a world where speed and efficiency reign, a world where the body is pushed to the extreme.
이동식 가구/ 이동식 조각
안양천을 따라 산책하면서 나는 한국에서 다리 아래의 공간들이 휴식과 놀이를 위한 공간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놀랍게도 유럽의 경우와는 다르게 강가의 둑은 야생식물의 서식지로 그대로 방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곳에서 내가 하고자 한 것은 이런 장소에 그늘과 휴식을 제공하는 몇 개의 섬을 설치하여 이런 장소를 다른 용도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나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이동 가능한 몇 개의 섬을 제작하고자 한다. 바퀴로 움직이는 이 조각물들은 보행자들에게 나무 밑이나 다리 밑의 그늘이 아닌, 그들을 유인하는 파라솔 밑의 그늘을 제공하며, 보행자들은 스스로 조각물에 자리 잡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두 가지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사람들이 공적 공간을 생동감 넘치는 놀이 공간으로 취급하는 것이고 그 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실제로 이 그늘진 이동식 조각물들은 공간에서 모듈성(modulariy)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나는 사람들이 이 조각물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해 큰 흥미를 가지고 있다. 둘째는 공적 공간에 위치한 조각과 설치작업을 주변 환경과 상황을 연구하는 진정한 실험실로 간주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각은 실험의 매개체가 된다. 한국에서는 수평적으로 신체를 배치는 방법이 "평상"의 이용과 함께 매우 보편적이고, 해먹(hammock) 의자의 사용이나 다른 형태로 신체를 배치는 방법은 그렇게 일상적이지 않다. 나의 작업은 신속성과 효율성이 지배하고 몸이 극단으로 밀려있는 세상에서 신체의 위치와 자세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Ian-John Hutchinson 이언 존 허친슨
Let`s Duet, Let`s Duo
The `Let`s Duet, Let`s duo` project consists of street live sessions where I make audio field recordings of the ambient street sounds while also putting out sounds by playing harmonicas or using found objects such as an abacus to make noises. These `concerts` are done in public spaces in the old Manan area, usually in the coolness of the evenings from 6pm until after dark.
It`s a duet, there are two...working together to realize one composition. Who is the duet between? One is the heterogenous city. The sounds that appear out of its mouth are divinely indifferent to co-ordination. The other in the duet is an individual to whose ears the city soundscape becomes a totality. And there are other duets in this project - e.g. the project CD and the listener.
It`s a duet, there are two...the person in the street and the person that they meet doing something there.
레츠 듀엣, 레츠 듀오
안양에서 첫 번째 날 가졌던 석수시장 주변으로의 짧은 가이드 투어를 통해 구 도시 만안 지역의 특징적인 좁은 골목길들을 만나게 되었다. 우리들은 이 골목길에서 작업하는 것을 상상하도록 열정적으로 초대되었고, 나는 즉각적으로 이 거리들의 미장센을 더욱 탐사하고자 하는 열망으로 초대에 답하였다.
‘레츠 듀엣, 레츠 듀오’ 프로젝트는 하모니카를 연주하거나 주판과 같이 소리를 만들 수 있는 발견된 오브제들을 사용하여 소리를 만들면서 거리 주변의 소리들을 현장 녹음하는 거리 라이브 세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콘서트’는 만안구 지역의 공공장소에서, 보통 오후 6시부터 어두워질 때까지의 차분한 저녁 시간대에 진행되었다. 각 지역을 걸어 다니며 나로 하여금 멈추어 앉아 듣고 연주하도록 하는 장소를 찾아 그곳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중요했다. 그리고 하나의 전체로서 이 지역의 다양성으로부터 무언가를 알게 되고, 사람들의 사적 공간 속으로 마이크를 들이밀지 않고도 그들의 활동일주기를 듣는 것 또한 중요했다. 소리의 진동은 건축물과 신체의 세포막을 통해 공간으로 침투하는 몇 가지의 경계를 인식한다. 이 지역이 주로 주택가이므로 내가 만들어 내는 사운드는 반드시 집 안의 소리를 고려해야 한다. 거리로부터의 격렬한 소음은 집 안으로 침투하고 집 안에서의 삶의 소리는 골목으로 확산된다. 나는 오디오 현장을 듣는 것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사운드를 도입했다..
이것은 두 가지 요소가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기 위해 함께 하는 이중주이다. 누가 함께하는 이중주인가? 하나는 외래적 도시이다. 이것으로부터 나오는 소리는 합동과 조화에 대해 신성하게 무관심하다. 이중주 속의 다른 하나는 도시의 소리풍경을 듣는 한 개인이고, 그의 귀에 소리 풍경은 하나의 총체가 된다. 그리고 이 프로젝트에는 프로젝트 CD와 청취자 등과 같은 또 다른 이중주들이 존재한다. 이것은 거리에 있는 사람과 그들이 그곳에서 무엇인가를 하면서 만나는 사람 사이의 이중주이다. .
Gabriele Horndasch 가브리엘레 혼다쉬
Foot Bridge
+217.jpg)
징검다리
콘크리트로 주조한 블록 연작이 안양예술공원 근처에 위치한 삼성천 아래 쪽에 설치된다. 강을 건너기 위해 한국의 강가 곳곳에 놓여져 있는 돌다리들처럼 30여 개의 콘크리트 블록이 한 쪽 강둑에서 건너편 강둑까지 관람객의 눈에 물 위로 보여진다. 이 콘크리트 다리의 블록은 원래 돌다리를 구성하는 돌보다 작아서 겨우 한 발 정도 디딜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이 블록들은 각기 조금씩 그 높이가 다르게 물 위로 보인다. 이 다리는 양쪽 강둑 사이가 10미터 정도 폭이 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강의 양쪽에 위치한 30층 아파트들에 의해 숨이 막힐 듯 둘러싸여 있다. 좀더 자세히 보면 각각의 콘크리트 블록에 각인된 문양을 발견하게 된다. 블록의 주형鑄型 틀은 설치 장소 양쪽에 서 있는 아파트 단지와 유사한 아파트 단지들의 쓰레기 장에서 수집한 버려진 가구들로 제작되었고, 이로 인해 가구의 옛 주인들이 좋아하던 장미와 꽃 문양을 가지고 있다.

작품캡션> 징검다리 Foot Bridge_Concrete_Installation_2010
Laura Cooper 로라 쿠퍼
Exercise Colour Arrangement (Colour Arrangement 103-3 / Seoksu Market)
Since my arrival in South Korea I have developed an obsession with the many apartment towers filling the country’s residential and urban centers. My interest has manifested itself in a need to visually and physically come to terms with the scale and uniformity of these structures. Examining these tower blocks extends existing ideas in my practice as an artist, as I often use the process of making my work to explore and interrogate my relationship to people within a specific location. So during my time in working in my studio at Seoksu Market area I am seeking to explore these homogenous landscapes of apartments and this vertical and cubical way of living. Hyundai apartment tower 103 is one of theses many tall structures surrounding the area and when inside this tower looking down at Seoksu market I arrived at the idea of my project. It was born out of strong desire to somehow connect these places and moreover their inhabitants.
My work ‘Exercise Colour Arrangement’ attempts to connect these spaces by installing a temporary colour intervention. This colour arrangement can be viewed in a fragmentary way, both from the market looking up and the apartment towers looking down. This involves transforming the aesthetic of the apartment block façade, by asking each resident on very floor to hang a colored fabric flag out on his or her balcony rail. The color transformation caused by this action will take place over a 30-minute-period, and the participants will have freedom to choose when to display and remove their flag within this time. Thus, the whole transformation relies on independent human decision. This makes the work rather suspended and musical. Additionally, the buildings colours will then be given musical pitches. I will use this performance as a score to correspond the occurrence of colour in time with musical notes from the chromatic and pentatonic scales. This intervention aims to disrupt the uniform and repetitious colour palettes of the towers and relies on the participants to be active in that task. Inhabitants of the towers can select the colour of their flag from an edited colour chart. This project gives its participants choice but also limits it through available colours and the instructed actions of the performance, which also speaks of boundaries, limitations and control. The corresponding intervention is located on a section of the roof of Seosku Market, using coloured fabric to mark each shop occupied. It aims to signify importance and existence to those looking down from above. Five colors will be part of this installation all derived from corresponding shades of the Korean cardinal colours but also these will be altered and displaced according to the colours selected by residents of the tower above.
색 배열 연습 (색 배열 103-3 / 석수시장)
한국에 도착한 이래로 나는 이 나라의 주거 지역과 도시 중심을 채우고 있는 수많은 고층 아파트에 집착하게 되었다. 나의 관심은 고층 아파트 구조의 규모와 획일성을 시각적으로 물리적으로 받아들이려는 욕구에서 드러난다. 나는 종종 어떤 특정한 장소에서 사람들과 나의 관계를 탐구하고 질문하기 위해 작업을 하는 과정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고층 건물들을 연구하는 것은 예술가로서의 나의 실천에 이미 존재하는 생각들을 확장시켰다. 석수시장에 있는 나의 스튜디오에서 작업을 하는 동안 나는 이러한 아파트의 동일화된 풍경과 삶의 수직적이며 입체적 방식을 연구하려고 했다. 현대 아파트 103동은 이 지역 주변에 있는 많은 높은 구조물 중에 하나로 내가 그곳에 들어가 석수시장을 내려다봤을 때, 나의 프로젝트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게 되었다. 이것은 이런 장소들과 더 나아가 이곳의 주민들을 어떤 방식으로든 연결하고자 하는 강렬한 열망으로부터 발생한 것이었다.
나의 작업 “색채 배열 연습”은 일시적인 색채 개입(intervention)을 설치함으로써 이 공간들을 연결하려는 시도이다. 이 색체 배열 프로젝트는 시장에서부터 위로 바라보는 것과 고층아파트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두 가지 단편적인 방식으로 관조될 수 있다. 이것은 각 층에 사는 주민들에게 색깔이 있는 천으로 된 깃발을 발코니 레일에 매달도록 부탁함으로써, 아파트 건물 파사드(facade)의 미학적 요소를 변환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에 의한 색채 변환은 30분 동안 진행될 것이며, 참가자들은 이 시간 동안 깃발을 설치하고 걷어내는 때를 자유롭게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 변환은 사람들의 독자적인 결정에 달려있는 것이다. 이것은 작업을 보다 자유롭고 음악적으로 만든다. 더욱이 빌딩의 색깔들에 음의 고저가 주어질 것이다. 나는 이 퍼포먼스를 반음계와 오음 음계로 이루어진 악보와 색깔의 발생을 연관시키기 위한 하나의 지수로 사용할 것이다. 이 개입(intervention)은 고층빌딩의 반복적이고 획일적인 색 팔레트를 방해하고자 하고, 또한 참가자들이 이 과제에 얼마나 능동적으로 참여하느냐에 달려있다. 고층건물에 사는 주민들은 편집된 컬러 차트를 보고 깃발의 색깔을 고를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참가자들에게 선택권을 주지만, 이 선택권은 사용 가능한 색깔의 제한과 퍼포먼스의 지시된 행동으로 인해 제한적이다. 이에 대응하는 개입(intervention)은 석수시장의 지붕 위 특정 영역에 위치한다. 이것은 색깔 있는 천을 사용하여 각 사용 중인 점포들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 개입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면서 이들의 중요성과 존재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설치 작업의 일부가 되는 다섯 가지의 색은 한국의 오방색과 일치하고, 또한 이 색들은 고층건물에 사는 주민들이 선택한 색에 따라 교체 및 대체될 것이다.
작품캡션> 색 배열 연습 Exercise Colour Arrangement (Colour Arrangement 103-3 / Seoksu Market)_Performace with local residents (30 min)_Video documentation (10 min)_2010
레이블:
Laura Cooper,
SAP2010: ARIA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