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Powered by Blogger.
Showing posts with label SAP2010: AAL.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SAP2010: AAL. Show all posts

Jim Allen Abel

Jim Allen Abel  짐 알렌 아벨
Museum of Common History of The People of Manan-gu 일상의 역사 박물관: 만안구 사람들

The work I am making is concerned with concepts of the past and present, how memories and time are experienced through the photographic images and how people’s environment changes through modern development. The work will explore these concepts using private family albums and images from the past. The photographs are collected by approaching local people, talking with them and inviting them to be involved with the project by donating images from their family albums. The process of gaining access to these images will allow us to explore and to understand how this particular land has been changed over recent history and how the people have adapted to the new conditions.

History is a complex construction with its many layers being contributed to by the work of various interested groups. Obviously there are dangers that potential layers are neglected and go unrepresented. With my project I wish to stimulate public awareness of the potential to independently develop their city's history. This project focuses on making a museum that displays simple objects such as local people`s own photography. Everybody has a different and unique life, too valuable to just disappear and become traceless. After my residency’s over, I hope this project still continues and maybe someday Manan-gu will have a independently managed history museum driven by the civil society of Manan-gu district community.


내가 제작하고 있는 작업은 과거와 현재의 개념과 관련 되어 있고, 사진 이미지를 통해 어떻게 기억과 시간이 경험되고, 어떻게 사람들의 환경이 현대적 개발을 통해 변화해왔는지에 대한 것이다. 나의 작업은 이러한 개념을 사적인 가족 앨범과 과거로부터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연구할 것이다. 이 사진들은 만안구 지역 사람들에게 다가가 그들과 대화하고, 그들의 가족 앨범 사진을 나의 프로젝트에 사용할 수 있도록 초대하는 과정을 통해 수집되었다. 이 이미지들에 접근하는 과정은 우리에게 이 특별한 지역이 어떻게 시간을 거쳐 변화되어 왔는지 그리고 변화된 새로운 상황에 어떻게 사람들이 적응해왔는지를 탐구하고 이해하도록 할 것이다.

역사는 다양한 이해집단들의 활동에 의해 구성된 수많은 층위를 가진 복잡한 구조물이다. 따라서 분명히 역사의 잠재적인 층위가 도외시되거나 표현되지 않는 위험이 존재한다. 나의 프로젝트를 통해 사람들이 자기 도시의 역사를 독립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한 공공적 인식을 일깨우고 싶다. 모든 사람들은 저마다의 독특한 삶을 살고 있으며, 이것은 흔적 없이 사라지기에 너무나 소중하다. 나의 레지던시가 끝난 후에도 나는 이 프로젝트가 지속되길 바라고, 아마도 언젠가 만안구는 만안구 공동체의 시민사회에 의해 독자적으로 운영되는 역사 박물관을 갖게 될 것이다.



작품캡션> 일상의 역사 박물관: 만안구 사람들 The Museum of Common History: People of Manan-gu_Photography installation_2010


Palash Bhattacharjee

Palash Bhattacharjee
폴라시 바타차르제

The Special Memory Service 특별한 추억을 위한 서비스


Here in the streets of Manan-gu, vendors sell vegetables, fruit and other commodities from the back of small trucks. As they slowly drive around these streets they announce their wares and deals from crackly loud hailers, literally drumming up business with pre-recorded and looped calls. But if the those trucks instead played music, announced dreams or recited some memorable event then how would that be?

This is the Special Truck of The Special Memory Service for these special days. People of Manan-gu who want to share their happy or funny memorable moments and melodies can send it to the heavens on these special days. Anything is welcome - jokes, songs, poetry or storytelling, whatever you like. Like other people I also use this truck to bear my memories and imaginations; the microphone of this truck broadcasts my voice and melodies.

Houses, villages and cities can be demolished but memories, dreams and music can't be wiped out so easily. The truck is going on with a purpose of freely sharing our thoughts. I give everyone this chance to become such a street vendor...so what’s on your mind?


만안구 거리, 이곳에서 행상인들은 소형 트럭 뒤에서 채소, 과일 및 그 외의 다른 상품을 판다. 그들은 이곳 거리를 천천히 운전하면서 딱딱거리는 소리를 내는 휴대용 확성기로 그들이 파는 상품과 판매에 대해 알리고, 사전 녹음된 반복적으로 재생되는 음성으로 사업을 선전한다. 그런데 만약 이런 트럭들이 상품을 선전하는 대신에 음악을 들려주거나, 꿈을 이야기하고, 기억에 남을 만한 일에 대해 낭독한다면 어떨까?

이것은 특별했던 날들과 특별한 추억을 기억하기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별한 트럭이다. 행복하고 재미있었던 잊혀지지 않는 순간들과 멜로디를 공유하고 싶은 만안구의 사람들은 그 특별한 시간들을 천국으로 보낼 수 있다. 농담, 노래, 시 혹은 이야기들, 여러분이 좋아하는 것이라면 그 어떤 것도 환영이다. 나는 또한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이 트럭을 나의 기억과 상상력을 싣는데 사용하며, 트럭의 마이크는 나의 목소리와 멜로디를 방송하게 된다.

집, 마을 그리고 도시는 소멸될 수 있지만, 기억, 꿈 그리고 음악은 쉽사리 사라지지 않는다. 트럭은 우리가 생각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도록 움직일 것이다. 나는 모든 이들에게 이러한 거리의 노점상인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이다.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Marc Vincent Cosico

Marc Vincent Cosico 막 빈센트 코지코
SEOKSU MARKET PORTRAITS 석수시장 초상화

In the `Seoksu Market Portraits Project` grand scale portraits of people involved with working in the market will be prominently displayed on the formerly bare walls. The formal objective is to break the monotony of the faceless market walls with vivid images of familiar faces, giving a fresh façade to an old marketplace. The human interactions of the people working and living here are the lifeblood of this market, so I want to focus on individuals by painting their portraits so as to honor the contributions of all the stall owners and market workers.

This project involves the images of actual individuals and so privacy issues are a factor, so the first phase involved attracting those who were willing to let themselves to be painted. I approached many of the local workers here and received many rejections to my request, yet I still managed to get some volunteer models from some of the people that I have had daily contact with while working in the studio here. I also gained some volunteers from people to whom I was a complete stranger, despite the barriers of language and unfamiliarity. The eight portraits (around 2m x 1.5m) will be strategically placed high up over the market. These ‘poster boys and girls’ of the market community will contrast with and mix in with the existing rooftop signage, becoming simple icons looking over everyone within the market. Portraits have been used over and over again in different places and times. The realism of the portraits and their connection to the characters of this vicinity creates a contextual resonance, a celebration of the gesture of the painter and that of the painted.

시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그린 대형 초상화 작업 ‘석수시장 초상화 프로젝트’는 텅 빈 벽에 눈에 띄게 설치될 것이다. 형식적인 목적은 오랜 시장 터에 신선한 파사드(façade)를 제공하며, 친숙한 얼굴의 활기찬 이미지로 특징이 없는 시장의 벽의 단조로움을 없애는 것이다. 이곳에서 일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인간적 상호작용이 이 시장의 생명선이기에, 나는 마치 모든 상점주인과 시장 노동자들의 공헌에 영광을 돌리는 의미로 그들의 초상화를 그리면서 개개인에 포커스를 맞추기를 원했다.

이 프로젝트는 특정한 개인의 이미지와 사적인 내용을 요소로 포함하며, 첫 번째 단계는 기꺼이 스스로 작품의 대상이 되어줄 사람들을 모으는 것이었다. 나는 이곳의 많은 지역 노동자들에게 접근하였고 많은 사람들이 내 요청을 거절했다. 하지만 나는 작업실에서 일하는 동안 매일마다 사람들을 접촉하여 모델이 되어줄 몇 사람의 지원자를 찾았다. 또한 나는 언어의 장벽과 이질감에도 불구하고 내가 전혀 모르는 사람들 중에서 몇 명의 지원자를 구할 수 있었다. 여덟 개의 초상화(약 2m x 1.5m)는 전략상 시장의 아주 높은 곳에 위치할 예정이다. 시장 공동체의 ‘poster boys and girls 소년과 소녀들의 대형그림(포스터)’는 시장 내에서 보이는 단순한 아이콘이 되면서, 기존의 옥상간판들과 대조를 이루는 동시에 혼합될 것이다. 초상화는 다른 장소와 시간들 속에 계속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초상화의 리얼리즘과 이 지역의 특징과의 연관성은 맥락적 공명共鳴을 창조하고, 이것은 화가와 모델의 행위를 기념하는 의미를 갖는다.


Tetsuro Kano

Tetsuro Kano 테츠로 카노
Naturplan 네이처 플랜


식물과 새의 관찰을 통해 공간의 가능성이 가시화될 수 있다. 기성품이나 습득물 혹은 이런 재료들이 전시되는 공간은 인간에게만 어떤 의미나 기능 또는 가치를 가지며 이해된다. 전시 공간과 기성품들이 특별히 새를 위해 설계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들은 인공물과 자연물의 구분 없이 자연적 환경의 일부로 해석될 수 있고, 쉽게 감지될 수 있는 땅의 흐름을 도외시하지 않는다. 설치 작업의 의미는 그 장소에 이미 존재하는 사물을 주어서 이용함으로써 무의식에 반영된다. 이러한 요소들이 조화롭게 결합될 때, 새는 자유롭게 자신의 상상력을 가지고 그 환경에 반응한다. 의미와 기능 그리고 가치에 대한 인간의 이해를 뛰어넘어 그 결합된 요소들은 우리에게 낯선 감정과 불 일치감을 불러일으킬 지도 모르고, 동시에 그들은 공간에 그려진 드로잉과 유사하다. 우리가 새를 신뢰한다면 그 곳에 다가온 새는 나뭇가지와 닮은 인공물을 둥지를 틀기 위한 새로운 나뭇가지로 인식할지 모른다. 이런 새의 환경 인식을 깨달았을 때 우리는 어쩌면 낯선 감정을 느낄지도 모른다. 나는 이름은 없지만 잊을 수 없는 분위기를 환기시키는 방법이나 그 순간을 바라보는 방법을 찾고 있다. 새로운 공간을 만나면 나는 모호한 프레임을 예술작품으로 만든다. 그 프레임 안에는 식물의 성장이나 새가 돌아다니는 것과 같은 다양한 우연성이 내포되어 있다. 정의 되지 않은 오브제에 대한 연구는 종종 합리적 이유가 결여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의 위대함을 시각화하려는 의도와 함께 지속될 것이다. 미리 규정된 조화를 최소화하면서 나는 우리가 원하는 만큼 기억할 만한 순간들이 존재한다고 확신한다.

 
Spatial possibilities can emerge by observing bird and plant life. Ready-made goods and found articles or the space where these materials are exhibited have various meanings, functions and values for us and understandable only to us. The exhibition space and ready-mades are not designed specifically for the birds. They can be interpreted as a part of natural environment without the distinction of being artificial or natural. The easily noticeable flow of the land should not be neglected. Rather, the meaning of the installation is reflected to the unconsciousness by picking up and utilizing objects that already exist in that place. When these elements are combined in unison the bird freely reacts to the environment with its own imagination. The combined elements that are beyond our understanding of meaning, function and value may give rise to feelings of dislocation. At the same time, they may resemble a `drawings` in the space. If we trust the bird, when the bird rushes to a position, it recognizes an artifact that resembles a branch as a new branch for nesting. When we see the bird’s recognition of its environment, it`s relation with it, we may feel an epiphany of difference. I’m searching for a way to recall nameless momentary atmospheres. When I encounter a new space, I create an imprecise frame as a piece of artwork. Various chances are connoted in the frame: growth of plants or a bird’s walk. The study of indeterminate objects will continue, with the aim of visualizing the greatness of indescribable phenomena that often lack reasons. Minimizing pre-determined harmony, I am assured that memorable moments exist as much as we desire them.